도금 벗겨진 빠리올림픽 메달 론난
时事
2025-01-26 15:01
吉林
빠리올림픽 메달이 변색, 부식 등으로 품질 론난에 휩싸였지만 자사 장인 참여를 자랑했던 프랑스 최대 명품기업 루이비통은 책임을 회피하고 있다.프랑스 국가대표 수영선수 요한 은도예 브루아르가 지난달 올린 게시물. 지난 20일(현지시각) 뉴욕타임스는 “빠리올림픽 메달은 모엣 헤네시 루이비통 그룹에 속한 럭셔리 보석 및 시계 브랜드 쇼메가 디자인했다.”며 “금, 은, 동으로 제작되여 빠리 대회에서 최고 기량을 보여준 선수들에게 수여된 이 메달들이 지금 변질되고 있고 해당 회사는 침묵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뉴욕타임스는 지난해 8월 빠리올림픽 페막 후 100일도 안돼 100명이 넘는 선수가 손상된 메달을 교체해달라고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메달 품질 문제는 동메달에서 가장 심각하다. 선수들이 메달을 받은 직후부터 문제가 제기되기 시작했다고 뉴욕타임스는 전했다. 이에 미국 펜싱선수 닉 이트킨은 동메달이 받은 지 몇주 뒤부터 눈에 띄게 변질되기 시작했으며 교체를 요청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또 “다른 올림픽에서도 메달 교체 사례가 있었지만 대규모로 문제가 발생한 적은 드물었다.”면서 “특히 이번처럼 한 기업이 브랜드 가치를 전면에 내세운 경우는 전례가 없다.”고 꼬집었다. 이에 국제올림픽위원회는 사과하며 메달 교환을 약속했다. 또 메달 제작을 맡은 프랑스 조페청은 광택제와 관련된 기술적 문제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조페청은 동메달이 녹쓴 듯한 사진이 공개된 뒤 내부 조사를 벌여 결함을 발견했다. 금속 산화를 방기하기 위해 크롬 화합물을 사용하는데 유럽련합 규제에 따라 제조 공정을 변경하면서 문제가 발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해당 회사는 다른 기관들에 설명 책임을 떠넘기며 침묵을 지키고 있다. 뉴욕타임스에 따르면 회사측 대변인은 “메달 제작이나 품질에 대한 책임이 없으므로 론평할 사항이 없다.”고 전했다. 이어 “대회를 앞두고 회사측은 자사 장인들이 메달 제작에 참여했다는 점을 자랑스럽게 홍보했다.”며 “프랑스 대통령관저인 엘리제궁 린근에 마련된 모엣 헤네시 루이비통 클럽 2층에서는 쇼메 디자이너들이 메달 디자인 프로젝트를 비밀리에 진행한 1년간의 과정을 설명하며 작품을 선보였다.”고 전했다. 아울러 뉴욕타임스는 “해당 회사에 있어서 이번 올림픽은 스포츠분야로의 본격적 진출이자 브랜드를 널리 알릴 기회였다. 문제의 중심이 된 메달은 ‘품질과 정밀함을 사명으로 하는 모엣 헤네시 루이비통이 어떻게 이런 실수를 했는가’라는 질문을 남겼다.”고 덧붙였다. 앞서 빠리올림픽 혼계영 동메달리스트인 프랑스 수영국가대표 클레망 세키는 지난달 도색이 심하게 벗겨지고 갈라진 메달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공개하며 “악어가죽 같다.”고 내용을 작성했다. 은메달을 딴 동료 요한 은도예브루아르도 낡아버린 메달 사진을 사회관계망서비스에 올리며 2024년 빠리올림픽이 아니라 1924년 빠리올림픽에서 딴 것으로 보인다는 취지의 발언을 했다. 来源:延边日报
初审:南明花
复审:郑恩峰
终审:金星光