点击上面(윗쪽)韩音综
关注(팔로우)免费订阅(무료구독)
***
사람답게 늙고, 사람답게 살고, 사람답게 죽자
사람은
自然年齡, 健康年齡, 精神年齡, 靈的年齡 등이 있다.
영국의 心理學者‘브롬디’는
“人生의 4분의 1은 成長하면서 精神年齡과 靈的年齡을 昇華시키며 보내고, 나머지 4분의 3은 늙어가면서 自然年齡과 健康年齡을 채워 보낸다.”고 하였다.
成長하면서 보내든, 늙어가면서 보내든,
人生길은 앞을 보면 까마득하고 뒤돌아보면 虛妄하다.
어느 詩人은 '豫習도 復習도 없는 단 한 번의 人生의 길'이라고 말했다.
'가고 싶은 길도 있고, 가기 싫은, 가서는 안 되는 길도 있지만, 내 뜻대로 안되는 게 人生의 길인 것을 이 만큼 와서야 뼈저리게 느낀다.'고 恨歎하기도 했다.
사실 사람이 사람답게 늙고, 사람답게 살고, 사람답게 죽는 것이란 그리 쉬운 일은 아닐 것이다. 그러나 어려운 일도 아주 멋지게 해 나가는 사람들이 많다.
잘 準備하고 準備된 것에 最善을 다하여 熱情을 쏟아 부었기 때문일 것이다. 과연 어떻게 늙고 죽어야 할까?
1.첫째: 사람답게 늙고 = 웰에이징(Wellaging)
幸福하게 늙기 위해서는 먼저 老年의 品格을 지녀야 한다. 老年의 品格은 豊富한 經綸을 바탕으로 老熟함과 老練함을 갖추는 일이다.
老年의 삶을 不安해하는 것은 자신의 存在感을 잃어가기 때문이지만, 오히려 老年은 知性과 靈魂이 最絶頂의 境地에 이르는 黃金期임을 認識해야 한다.
老熟함과 老練함으로 武裝하여 老益壯을 과시하라! 山行과 瞑想, 클래식 音樂과 讀書와 같은 靈性(신령한 품성이나 성질) 生活의 餘裕를 온 몸으로 즐겨라.
最高의 老後는 우리가 무엇을 꿈꾸느냐에 달려 있다. 老年은 24시간 自由다. 태어나서 처음 맞이하는 나만의 自發的 時間이다.
여유작작(餘裕綽綽:빠듯하지 않고 넉넉함)하고 餘裕滿滿 한 餘生의 시작을 위해 팡파르를 울려야 할 때다.
웰에이징(Wellaging)을 위해 老年 特有의 熱情을 가져야한다. 老年의 熱情은 經綸과 品格이 따른다.
老練함과 達觀이 살아 숨 쉬는 豊饒한 熱情이다.
나이 들어갈수록 이러한 熱情을 잃지 않도록 해야 한다.
老年四苦라는 말이 있다. 貧苦, 孤獨苦, 無爲苦, 病苦가 그것이다. 가난과 외로움과 할 일 없음의 괴로움은 老年에 가장 큰 골칫거리 이며,
이와 함께 老後의 病苦만큼 힘든 일은 없다. 그래서 老年은 점점 意慾과 熱情을 잃어가는 시기라고 速斷할지 모른다.
그러나 생각하기 나름이다.
老年四苦는 熱情을 喪失한 대가임을 알아야한다. 熱情을 잃지 않고 사는 老年 老後는 貧苦, 孤獨苦, 無爲苦, 病苦가 감히 끼어들 틈조차 없다.
老年期에 熱情을 가지면 오히려 偉大한 業績을 남길 수 있는 理由가 여기에 있다.
幸福하게 늙기 위해서는 또한 人間關係가 매우 重要하다. 나이가 들면서 초라하지 않으려면 對人關係를 잘 하여야한다.
즉 人間關係를‘나’中心이아니라 他人 中心으로 가져야 한다.
나이가들면서 사람은 利己主義的 性向이 강해진다. 老慾이 생긴다. 모든 것을 自己中心적으로 생각한다. 그러면서 暴君노릇을 하고 自己陶醉에 몰입하는 나르시즘(narcissism:자기도취증)에 빠질 수 있다.
또는 厭世的이고 運命論的인 생각이 支配하는 페이탈리즘(fatalism:운명론)에 빠질 수도 있다.
이런 사람의 對人關係는 결국 초라하게 될 수밖에 없다.
結局 人間關係는 中心軸이 무엇이냐에 따라 달라지는 것이다.
物質 中心의 人間關係를 갖는 사람은 나이 들수록 초라해 지고, 일 中心이나 ‘나’中心의 人間關係를 갖는 사람도 역시 외로움에 휘말리게 된다.
그러나 他人 中心의 人間關係를 갖는 사람은 나이가 들어도 찾아오는 사람이 많고, 따르는 사람도 많다. 가장 바람직한 것은 他人 中心의 人間關係라 할 수 있다.
2.둘째: 사람답게 살고 = 웰빙(wellbeing)
사랑과 恩惠로 充滿한 老年을 우리는 웰빙(well-being)이라고 한다. 웰빙은 肉體뿐 아니라 精神과 人品이 健康해야 하기 때문이다.
그러기에 웰빙은 肉體的인 强健함 보다 精神的인 豊饒와 餘裕에 더 重点을 두어야한다. 仁慈함과 포근함이 묻어나는 한,
그리하여 사랑과 容恕의 美德으로 넘쳐나는 한, 老年 老後는 일빙(ill-being:심신을 혹사시키는 일)이 아니라 오히려 웰빙(well-being)의 시기이다.
‘잘 먹고, 잘 입고, 잘 노는’ 것만으로는 웰빙이 될 수없다. 精神과 人品이 무르익어가는 老年이야말로 人生의 最高峯이자 웰빙의 最適期다.
老年의 綠色指數는 無限大다. 老年의 삶은 강물이 흐르듯 차분하며, 생각은 달관하듯 寬大하다. 疏脫한 食事가 天下의 맛이며, 世上을 온몸으로 감싼다.
老年의 삶은 자연과 하나다. 그래서 老年은 靑春보다 꽃보다 푸르다. 그러나 대부분의 사람들은 老年은 삭막하고 孤獨한 시기로 생각한다. 絶望과 슬픔을 떠올린다.
사실, 젊음을 구가하던 때와 비교하면 老年의 外貌는 형편없다. 삼단복부, 이중 턱, 구부정해지는 허리 등.. 그리고 흰머리, 빛나는 대머리, 또 거칠고 늘어진 피부, 자꾸 자꾸 처지는 눈꺼풀 등..
그럼에도 불구하고 末年을 앞에 둔 이들이 다른 사람에게 香氣를 나눠 줄 수 있는 것은 精神的인 豊饒와 經綸으로 쌓아올린 德이 있기 때문이다.
老年의 주름살 속에 아름답게 풍겨나는 仁慈스러움은 갑자기 생기는 것이 아니다. 살아가면서 쌓이며 昇化되는 火石과 같은 것이다.
우리가 마음속에 그려온 老人은 이렇듯 香氣 나는 삶을 살아가는 사람, 德이있는 사람, 智慧가 豊富하고 마음이 仁慈하고 慾心이 없는 사람이었다.
그런데 世上事 애꿎어 實生活에서 만나는 老人들은 大部分 그런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다. 固執이 세고 吝嗇하고 마음이 좁은 老人들을 더 자주 만난다.
왜 그런가? 老年의 그런 추함은 어디서 오는가? 사랑과 容恕의 삶에 吝嗇했거나 恩惠의삶을 잠시 妄却했기 때문이다.
老年은 容恕하는 시기이다. 容恕의 근간은 사랑이다.
사랑만이 人間을 救濟하는 希望이다. 사랑과 恩惠로 充滿한 老年을 보내는 사람, 우리는 이들을 일컬어 '사람답게 사는 사람’이라고 한다.
이것이 바로 웰빙(wellbeing)임을 다시 한 번 想起하자. 웰빙은 肉體뿐 아니라 精神과 人品이 健康해야 함도 잊지 말자!
3.셋째: 사람답게 죽자 = 웰다이잉(welldying)
老年의삶은 자신의 人生을 마무리하는 段階이기 때문에 죽음을 準備하는 期間이기도 하다. 죽음을 극도로 두려워하는 것도 問題이지만,
‘이만큼 살았으니 당장 지금 죽어도 여한이 없다’고 생각하는 자신의 삶에 대한 輕薄한 듯한 태도는 더욱 큰 問題라고 볼 수 있다.
‘소노 아야꼬’는 ‘죽음이 오늘이라도 찾아오면 힘을 다해 열심히 죽을 것’이라고 했다. 죽음을 삶의 延長線上에서 敬虔하게 생각한 것이다.
“병에 걸리면 도를 닦듯 열심히 鬪病을 할 것. 鬪病과 동시에 죽을 準備도 다해 놓고 언제고 부름을 받으면,
“네 ”하고 떠날 準備를 할 것“ 죽되 추하게 죽지 않도록 아름다운 죽음이 되는 ‘ 完全한 죽음’을 强調하고 있다.
‘윌리엄 컬렌 브라이언트’는 죽음을 觀照하면서 이렇게 노래한다.
“그대 한 밤을 채찍 맞으며, 監房으로 끌려가는 採石場의 노예처럼 가지 말고, 흔들림 없는 믿음으로 떳떳하게 위로 받고 무덤 향해 가거라. 침상에 담요 들어 몸에 감으며 달콤한 꿈나라로 가려고 눕는 그런 사람처럼…”
幸福한 老年을 보내기 위해서는 이와 같은 高次元의 人生觀이 重要하다. 나이가 들면 이 人生觀의 存在 與否가 삶의 질을 확연하게 바꾸어 놓는다.
이제까지는 세상이 정해 놓은 길, 주변에서 원하는 길을 따라 걸어왔다면, 이제부터 남은 삶은 어떤 길을 택하고 어떻게 걸어갈지 오로지 내가 選擇하고 責任지며 살아야 한다.
이런 意味에서 老年의 年輪은 미움과 絶望까지도 따뜻하게 품을 수 있어야 한다.
誠實하게 살면,
理解度, 知識度, 事理 分別力도, 自身의 나이만큼 쌓인다. 그런 것들이 쌓여 厚德한 人品이 完成된다.
老年이란 神에 대한 肯定的인 思考가 急速이 자리 잡게 되고 그에 대한 深奧한 깨달음을 얻기 위해 不斷히 努力해야 하는 時間이다. 그래서 젊은 날의 蠻勇조차 둥글둥글 해지고 人間을 보는 눈은 따스해 진다.
이러한 德目을 갖추려면 스스로에게 嚴格해야한다. 자신에게 堅固한 자갈을 물리고 삶의 速度를 調節해야한다. 時間은 人間에게 誠實할 것을 要求한다.
剩餘時間은 存在하지 않는다.
시간을 자신의 것으로 만들기 위한 정신적 육체적 노력 없이는 시간을 차지할 수없다. 그래서 老年에게 時間은 두렵고 殘酷한 것이다.
그리하여 마음을 비워야한다. 未完成에 感謝해야한다.
사람답게 죽기(welldying)위해 '進擊'보다는'撤收'를 準備해야 한다.
물러설 때를 늘 염두에 두며 살아야 한다. 자신의 자리와 삶에 대한 두터운 욕심에 연연해서는 안 된다.
執着이란 보이지 않는 일종의 病이다. 그래서 자신과 관계있는 조직에, 일에 너무 愛着을 갖지 말라고 忠告한다.
愛着은 곧 權力과 財貨의 誘惑에 빠지게 하고 그 힘을 周圍에 誇示하려 하게 되며 마침내 추한 頑固함의 덫에 걸려들게 만든다.
오래 살게 되면 얻는 것보다 잃어버리는 것이 더 많다. 따라서 '비움’과 ‘내려놓기’를 準備하라.
그것은 잃지 않기 위해 努力하라는 말이 아니라,
순수하게 잃어버림을 받아들이라는 말이다.
주변의 사람도, 財物도, 그리고 意慾도, 어느 틈엔가 자신도 모른 사이에 떠나간다.
이것이 老年의 宿命이다.
人間은 조금씩 비우다 결국 아무것도 남아있지 않을 때 世上을 뜨는 게 아닐까?
그래서 나이가 들면 들수록 人間을 依支하기보다는 神에 依支해야 한다. 神과 가까이 하면 精神年齡과 靈的年齡은 더욱 신선해진다. 이것이 웰다잉(welldying)의 깊은 뜻이다.
後半戰의 人生은 餘生이 아니라, 後半生이다.
人生의周期로 보면 내리막길 같지만 지금까지 전혀 생각하지 못했던 다른 世上을 향해 새 人生이 시작되는 때다.
幸福한 老年은 무엇인가?
“사람답게 늙고(wellbeing),
결국 사람답게 살다(wellaging)가,
사람답게 죽는 것(welldying)으로 마치는 삶이다.”!!..
阅读原文 더 많은 기록보기